사이드 프로젝트를 위한 AWS 구축 해보기3
사이드 프로젝트를 위한 AWS 구축 해보기3
들어가며
이 포스트는 나카가키 겐지의「AWS로 시작하는 인프라 구축의 정석」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
- 책: AWS로 시작하는 인프라 구축의 정석
- 저자: 나카가키 겐지
- 출판사: 제이펍
- 챕터: Chapter 4 가상 네트워크 만들기
4.1 네트워크
4.2.2 생성 내용
이름 태그
- VPC를 식별하기 위핸 이름
IPv4 CIDR 블록
- VPC에서 사용하는 private 네트워크용 IP 주소 범위
- 24비트 블록 : 10.0.0.0 ~ 10.255.255.255
- 20비트 블록 : 172.16.0.0 ~ 172.31.255.255
- 16비트 블록 : 192.168.0.0 ~ 192.168.255.255
- 최대 16비트인 이유
- VP 서브넷 마스크를 16비트 이하로 제한해야함
IPv6 CIDR 블록
- VPC에서 IPv6의 이용 여부 지정
테넌시
- VPC 상의 리소스를 전용 하드웨어에서 실행할 지 지정
4.2.3 VPC 생성 순서
4.3 서브넷과 가용 영역
4.3.1 서브넷과 가용 영역
- 서브넷 ; VPC의 IP 주소 ㅂ범위를 나누는 단위
- 리소스가 담당하는 역할에 따라 분리
- 리소스가 포함된 그룹 전체에 대해 할당
기기 분리
- 내결함성을 높이기 위해 기기를 분리
4.3.2 IPv4 CIDR 설계 방법
- CIDR 설계 시 고려해야할 항목
- 생성할 서브넷의 수
- 서브넷 안에 생성할 리소스 수
- 두 항목은 트레이드오프 관계
- 설계 예시
서브넷의 CIDR 블록 | 서브넷 수 | 리소스 수 |
---|---|---|
00001010.00000000.XXXXXXXX.XXXXXXXX | 256 | 251 |
00001010.00000000.XXXX XXXX.XXXXXXXX | 16 | 4091 |
00001010.00000000.XX XXXXXX.XXXXXXXX | 4 | 1637909 |
4.4 인터넷 게이트웨이
4.4.1 인터넷 게이트웨이란?
VPC에 연결
4.5 NAT 게이트웨이
4.5.1 NAT 게이트웨이란?
- 프라이빗 서브넷의 인스턴스가 인터넷이나 다른 AWS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
- 동시에 인터넷에서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직접 연결을 방지
- 주요 특징
- NAT 게이트웨이 생성
4.6 라우팅 테이블
4.6.1 라우팅 테이블이란?
- 라우팅 테이블
-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테이블
- 라우팅의 설정
- 송신 대상지 : 접속 대상 위치에 관한 정보로 송신 대상자는 IP 주소를 지정, IP주소는 특정 값을 지정하거나 CIDR 형식을 이용해 범위로 지정할 수도 있다
- 타깃 : 경유지에 관한 정보 | 타깃| 용도| |——|——| |로컬 | 동일 VPC 안의 리소스에 접근 | |인터넷 게이트웨이 | 퍼블릭 서브넷에 생성된 리소스가 인터넷 서버와 통신 | |NAT 게이트웨이 | 프라이빗 서브넷에 생성된 리소스가 인터넷 서버와 통신 | |VPN 게이트웨이 | VPN을 통해 접속된 독자 네트워크상의 서버와 통신 | |VPC 피어링 | 접속을 허가한 다른 VPC상의 리소스와 통신 |
4.6.3 라우팅 테이블 생성
- 라우팅 테이블 생성
- 라우팅 설정
- 서브넷 연결 편집
4.7 보안 그룹
4.7.1 보안 그룹인가?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